https://www.acmicpc.net/problem/1269
1269번: 대칭 차집합
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
www.acmicpc.net
문제
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 이때,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B)와 (B-A)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 { 1, 2, 4 } 이고, B = { 2, 3, 4, 5, 6 } 라고 할 때, A-B = { 1 } 이고, B-A = { 3, 5, 6 } 이므로,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 3 = 4개이다.
입력
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000을 넘지 않으며, 모든 원소의 값은 100,000,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결국, A와 B의 교집합을 찾으면 되는 문제이다.
교집합을 찾으면 A + B - 교집합의 개수 * 2를 하면 된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이중 반복문을 이용해서 A, B의 교집합을 찾는 것은 시간초과였다.
때문에 각 집합을 정렬 한 후 각각 A, B의 포인터 인덱스를 지정하고, 같지 않으면 해당 집합의 index를 하나씪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했다. (merge_sort의 논리와 똑같다)
코드
import sys
read = sys.stdin.readline
count_a, count_b = map(int, read().split())
a_group = list(map(int, read().split()))
b_group = list(map(int, read().split()))
a_group.sort()
b_group.sort()
a_index = 0
b_index = 0
answer = 0
while a_index < len(a_group) and b_index < len(b_group):
if a_group[a_index] == b_group[b_index]:
a_index += 1
b_index += 1
elif a_group[a_index] > b_group[b_index]:
b_index += 1
answer += 1
else:
a_index += 1
answer += 1
while a_index < len(a_group):
a_index += 1
answer += 1
while b_index < len(b_group):
b_index += 1
answer += 1
print(answer)
'프로그래머가 되자!!!! > 알고리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6234. 인구이동 (python) (0) | 2021.10.05 |
---|---|
[BOJ] 10851. 숫자카드 (python) (0) | 2021.10.02 |
[BOJ] 1406. 에디터 (python) (2) | 2021.09.22 |
[BOJ] 11653. 소인수분해 (python) (0) | 2021.09.17 |
[BOJ]1541. 잃어버린괄호 (python)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