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573
2573번: 빙산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www.acmicpc.net
문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2 | 4 | 5 | 3 | |||
3 | 2 | 5 | 2 | |||
7 | 6 | 2 | 4 | |||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 1의 빙산은 일년후에 그림 2와 같이 변형된다.
그림 3은 그림 1의 빙산이 2년 후에 변한 모습을 보여준다. 2차원 배열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어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림 2의 빙산은 한 덩어리이지만, 그림 3의 빙산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 있다.
2 | 4 | 1 | ||||
1 | 1 | 5 | ||||
5 | 4 | 1 | 2 | |||
그림 2
3 | ||||||
4 | ||||||
3 | 2 | |||||
그림 3
한 덩어리의 빙산이 주어질 때, 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림 1의 빙산에 대해서는 2가 답이다. 만일 전부 다 녹을 때까지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0을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이상 10 이하이다. 배열에서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 즉, 1 이상의 정수가 들어가는 칸의 개수는 10,000 개 이하이다. 배열의 첫 번째 행과 열, 마지막 행과 열에는 항상 0으로 채워진다.
출력
첫 줄에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출력한다. 만일 빙산이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풀이
큰 틀
1. 이어진 Island가 몇개인지 센다. (2개 이상이라면 종료!)
2. 그 후 1년을 지나게한다. 즉, 주변 물의 개수만큼 Height를 낮춘다.
3. 반복하며 땅이 2개로 갈라질 때 해당 year를 출력, 아니라면 0을 출력
세부 주의사항
1. 주변 물의 개수만큼 높이에서 뺴줄 때, 앞선 결과가 영향을 미친다. ex) 앞에 땅이 1 -> 0이 되면 그 다음 땅은 옆에 땅까지 물로 취급하게 된다. 때문에 한번에 기록해두고 처리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2. sys.setrecursionlimit의 진실!! dfs를 사용할 때, 재귀 제한을 풀어주는 것인데 값이 커질수록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는다! 각 문제에서 필요한 만큼만 늘리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여기선 10000이면 충분했다)
코드
import sys
import collections
### 너무 크면 메모리를 잡아먹는다!!!
sys.setrecursionlimit(10000)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glacier = []
for _ in range(N):
glacier.append(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dx = [0, 0, -1, 1]
dy = [-1, 1, 0, 0]
## 주변에 물이 몇개인지 세주는 함수
def count_water(x, y):
count = 0
for i in range(4):
new_x = x + dx[i]
new_y = y + dy[i]
if 0 <= new_x < N and 0 <= new_y < M and glacier[new_x][new_y] == 0:
count += 1
return (x, y, count)
## dfs를 이용하여, 이어진 land를 탐색
def dfs(x, y):
checker[x][y] = 1
for i in range(4):
new_x = x + dx[i]
new_y = y + dy[i]
if 0 <= new_x < N and 0 <= new_y < M and glacier[new_x][new_y] > 0:
if checker[new_x][new_y] == 0:
checker[new_x][new_y] = 1
dfs(new_x, new_y)
## bfs를 이용하여, 이어진 land를 탐색
queue = collections.deque()
def bfs(x, y):
queue.append((x, y))
checker[x][y] = 1
while queue:
p, q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ew_x = p + dx[i]
new_y = q + dy[i]
if 0 <= new_x < N and 0 <= new_y < M and glacier[new_x][new_y] > 0:
if checker[new_x][new_y] == 0:
checker[new_x][new_y] = 1
queue.append((new_x, new_y))
glacier_count = 1
count = 0
year = 0
melting_list = []
## 이어진 land가 2개 이상이거나, land가 0개라면 종료!
while count < 2 and glacier_count > 0:
glacier_count = 0
count = 0
checker = [[0] * M for _ in range(N)]
## bfs, dfs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어진 땅 덩어리를 탐색
for p in range(N):
for q in range(M):
if checker[p][q] == 0 and glacier[p][q] > 0:
glacier_count += 1
bfs(p, q)
count += 1
## 땅이 두개 이상이면 종료!
if count > 1:
break
## 각 지점의 melting 되는 양을 담아두고, 한번에 처리.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glacier[i][j] != 0:
melting_list.append(count_water(i, j))
while melting_list:
x, y, melt = melting_list.pop()
glacier[x][y] -= melt
if glacier[x][y] < 0:
glacier[x][y] = 0
year += 1
if count < 2:
print(0)
else:
print(year)
'프로그래머가 되자!!!! > 알고리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294. 동전2 (1) | 2021.08.23 |
---|---|
[BOJ]2252. 줄세우기 (python) (0) | 2021.08.23 |
[BOJ]3055. 탈출 (2) | 2021.08.21 |
[BOJ]7569. 토마토 (Python) (0) | 2021.08.20 |
[BOJ]2667. 단지번호붙이기 (0) | 2021.08.20 |